SW/Gradle

Gradle : Task 객체 : 개념, 이해, 개요, 설명, 예제

얇은생각 2025. 1. 18. 07:30
반응형

오늘은 Gradle Task 객체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 Gradle 빌드 스크립트에서 태스크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또 어떻게 빌드 프로세스를 간단하게 만들어 주는지 알아볼게요. 태스크는 사실 Gradle 빌드의 중심축 같은 존재라, 이걸 잘 알면 자신의 프로젝트에 딱 맞는 빌드를 만들 수 있어요. Gradle이 처음인 분들이나 이미 사용해 본 분들이나, 모두 이 글을 통해 태스크와 프로젝트 구조를 좀 더 쉽게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Gradle : Task 객체 : 개념, 이해, 개요, 설명, 예제

 

Gradle Task 객체란?

Gradle에서는 모든 게 프로젝트 객체를 기준으로 이루어져요. build.gradle 파일에 적힌 모든 코드가 이 프로젝트의 일부인 거죠. Gradle 빌드 스크립트는 기본적으로 여러 태스크로 구성돼 있고, 이 태스크들이 대부분의 작업을 담당해요. 내부적으로 이 태스크는 Task라는 클래스로 표현되는데, 쉽게 말해서 태스크는 코드 컴파일, 리소스 준비, 테스트 실행 같은 각각의 작은 작업 단위예요.

 

Gradle에서 태스크 탐색하기

Gradle이 태스크를 어떻게 다루는지 이해하려면, 일단 직접 프로젝트 안에 있는 태스크를 살펴보는 게 좋아요. 터미널에 가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보세요:

gradle tasks

 

이렇게 하면 지금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태스크가 쭉 나와요. 일부는 Gradle에 내장되어 있고, 다른 것들은 Java 플러그인이나 애플리케이션 플러그인 같은 플러그인을 통해 추가된 거예요. 이런 플러그인들은 기본 기능을 더 확장시켜서 개발 과정을 훨씬 수월하게 만들어 줍니다.

저도 처음에 gradle tasks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줄줄이 나오는 태스크 목록을 보고 좀 당황했었어요. 하지만 하나하나 알아가다 보니, JAR 파일 생성이나 유닛 테스트 실행, 애플리케이션 배포 등 각 태스크가 하는 역할이 점점 명확해지더라고요. 그러면서 Gradle의 진가를 느끼게 됐어요.

 

Gradle 태스크의 생명주기

Gradle 명령어를 실행하면 (gradle compileJava 같은 거요), Gradle은 그 명령어를 완수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태스크를 자동으로 실행해요. 예를 들어, 컴파일이나 리소스 준비 같은 작업들이 순서대로 실행되면서 원활한 빌드 과정을 보장해 주죠. Gradle은 이렇게 각 태스크를 객체로 만들어서 프로젝트에 추가해요.

더 쉽게 설명해 볼게요. 프로젝트를 하나의 큰 이벤트라고 생각해 보면, 각 태스크는 그 이벤트를 성공적으로 열기 위해 해야 할 일들이에요. 초대장 보내기, 장소 예약, 음식 준비 등등이죠. Gradle은 이 이벤트 매니저 역할을 하면서 각각의 태스크가 올바른 타이밍에 실행되도록 관리해 줍니다.

Gradle에서 태스크를 프로젝트에 할당하는 방식은 이렇게 표현할 수 있어요:

project.addTask(compileTask)

 

이렇게 태스크는 프로젝트 인스턴스에 객체로 추가되고, 다른 태스크들과 상호작용하거나 서로 의존 관계를 가질 수 있어요.

 

 

나만의 태스크 만들기

Gradle의 매력 포인트 중 하나는 기본 제공되는 태스크에만 의존하지 않고, 사용자 정의 태스크를 만들어서 빌드 과정을 내 입맛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는 거예요. 처음 Gradle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보세요:

gradle tasks --all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내장된 태스크뿐만 아니라 내가 직접 정의한 태스크도 함께 볼 수 있어요.

build.gradle 파일에서 태스크를 정의한 코드를 보면 이런 식으로 생겼을 거예요:

task compile {
    doLast {
        println 'Compiling the project...'
    }
}

 

처음 보면 클래스코드 블록을 작성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프로젝트 인스턴스메서드를 호출하는 거예요. 여기서 taskcompile이라는 새로운 태스크를 만드는 함수이고, 그 뒤의 블록 (doLast)은 그 태스크가 실행할 작업을 정의하는 거죠.

 

그루비와 클로저의 마법

Gradle 빌드 스크립트를 작성하다 보면, Java 스타일의 문법과 뭔가 좀 다르다는 걸 느끼게 돼요. 그 이유는 Gradle이 Groovy로 동작하기 때문인데, Groovy는 Java와 호환성이 높으면서도 더 표현력이 강한 동적 언어예요. task 메서드를 호출할 때도 이 Groovy의 마법이 작동하는 거죠.

task에 전달되는 클로저는 태스크가 실행될 때 실행되는 코드 블록이에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태스크를 정의할 수 있어요:

task clean {
    doLast {
        println 'Cleaning the project...'
    }
}

 

여기서 doLast는 태스크에 작업을 할당하는 메서드예요. 코드를 클로저로 직접 전달할 수도 있는데, Gradle은 이를 내부적으로 doLast 메서드로 연결해 줍니다.

 

태스크 메서드 탐색하기

Gradle 공식 문서에서 Task 메서드를 검색해 보면, 다양한 오버로드된 task() 메서드를 찾을 수 있어요. 이런 메서드들은 각기 다른 인자를 전달하거나, 태스크에 설명을 추가하거나, 실행 순서를 지정하는 기능을 해요. 예를 들어, 태스크를 정의할 때 이렇게 인자를 전달할 수 있어요:

task compile(type: JavaCompile) {
    description = 'Compiles the Java source code.'
    source = fileTree('src/main/java')
}

 

이 예제에서는 compile 태스크가 JavaCompile 타입임을 명시하고, gradle tasks를 실행할 때 태스크에 대한 설명도 볼 수 있게 해요. 이런 설명은 빌드 파일을 깔끔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팀원이나 미래의 나를 위한 훌륭한 문서화 역할도 해줘요.

 

사용자 정의 태스크를 만들 때의 개인적인 팁

Gradle을 처음 접했을 때 가장 중요하게 느낀 점 중 하나는 태스크를 모듈화하는 거였어요. 컴파일, 테스트, 패키징을 모두 하나의 큰 태스크로 만드는 것보다는, 각 단계를 별도의 태스크로 나누면 훨씬 관리하기 쉽고, 디버깅도 수월해지더라고요. 사용자 정의 태스크는 내가 원하는 대로 cleanup이나 리소스 준비, 패키징 같은 단계를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했어요.

개발자 입장에서 저는 태스크 간의 순서를 명확히 하기 위해 dependsOn을 사용하는 걸 추천해요. 이렇게 하면 태스크 간의 의존 관계를 확실히 제어할 수 있어서, 예기치 못한 문제를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됐어요.

예를 들어:

task prepareResources {
    doLast {
        println 'Preparing resources...'
    }
}

task compileJava(dependsOn: prepareResources) {
    doLast {
        println 'Compiling Java sources...'
    }
}

 

위 코드에서 compileJavaprepareResources가 완료된 후에만 실행되기 때문에, 빌드 과정이 올바른 순서대로 진행돼요.

 

요약: Gradle 태스크를 제대로 활용하기

정리하자면, Gradle 태스크는 모든 빌드 스크립트의 기본적인 요소예요. 태스크가 어떻게 작동하고,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는지 잘 알면, 정말 효율적이고 맞춤형 빌드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게 돼요. 내장된 태스크를 살펴보든, Groovy 클로저를 사용해서 새로운 태스크를 추가하든, dependsOn으로 태스크의 실행 순서를 정의하든, Gradle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거죠.

Gradle이 처음이라면, 너무 겁먹지 마세요. 이것저것 시도해 보고 실험해 보면 Gradle이 훨씬 친숙하게 느껴질 거예요. 태스크를 맞춤화하고 모듈화하면서, 점점 더 생산성이 향상되는 걸 느낄 수 있을 겁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