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에세이 5

소수자의 목소리를 듣는다는 것은 무엇일까요?

소수자들에게 말하기 보다는 소수자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 옳다는 것은 우리 모두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사회에서, 멀티미디어와 관련하여 차이를 묶어 줄 수 있는 이야기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들어야 하는 것인지는 논의 되고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주의 깊게 들으려는 목적으로 시작했어도 자칫 소수자를 단순한 정보 제공자로 이용하게 되는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또 논리정연한 말을 할 수 있도록 소수자들에게 기회를 주고 배려하지만 소수자들의 목소리를 그대로 들을 생각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말할 기회를 주기보다는 듣기가 중요하다. 소수자를 우리의 영역으로 끌어들이기보다는 소수자의 특성을 유지하고도 사회적 불이익이 없도록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더 필요한 것이다. 그래..

일상/교양 2018.12.17

"시민운동의 인식과 행동, 그리고 본질을 말하다" 후기

이 에세이 제목을 보며 너무 난해한 내용을 다루지 않을까 걱정이 되었다. 하지만 줄거리를 읽으면서 평소에 생각해보고 고민했던 내용이라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평소 시민으로서의 인식이 있었다고 생각했지만 실천이 부족했던 나로서는 이 글을 읽기 시작하면서 부끄러움을 감추지 않을 수 없었다. 왜냐하면 진짜 인식은 실천하고 경험함으로 찾아오는 것이라는 머리글로 시작하였기 때문이다. 인식이 없으면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행동은 인식으로 시작하는 것이다. 그러나 진짜 인식은 실천을 통하여 얻는 것이다. 그래서 인식과 행동은 상호 작용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군 위안부 문제 관련하여 시민으로서 행동 없는 인식을 하는 것과 행동을 함으로서 얻는 인식은 큰 차이가 있을 것이다. 행동을 함으로서 얻는 인식을 ..

일상/교양 2018.12.16

영화 : 악의 연대기에 대한 나의 생각

악의 연대기 나의 시민 교육 과제로 정한 영화는 악의 연대기이다. 먼저 벡델 테스트를 통해 이 영화를 본다면 첫 번째 질문도 통과하지 못하였다. 두 명 이상의 이름이 있는 여자가 등장하지 않는다. 여자가 등장해서 한 총 대사는 3마디였다.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극히 일부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테스트를 통해 보았을 때 남성성이 매우 강한 영화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생각해보면 많은 영화들이 이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악의 연대기와 비슷한 영화가 많은 것으로 보았을 때 우리는 너무 남성성을 무언의 강요를 하지 않았나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인권의 관점으로 보았을 때 이 영화는 매우 흥미로운 영화였다. 이 영화 내에서 선한 사람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영화의 첫 대사는 ‘나는..

일상/교양 2018.12.15

환경오염, 생각만으로는 부족하다

환경오염, 생각만으로는 부족하다 21세기 현재 우리는 환경 파괴에 따라 여러 환경 문제들을 맞이하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환경오염 문제에 대하여 큰 심각성을 지각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들은 환경오염 문제에 대해 어떠한 자세를 겸해야 하며 어떻게 노력해야할지 정확히 알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각과 실천에 큰 간격을 두고 무기력하게 환경오염 문제를 방관하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분리수거의 중요성은 알고 있다. 하지만 쓰레기의 40 퍼센트가 분리수거가 안 되어 버려지고 있다. 환경자원이 수없이 버려지고, 그 자원 이 쓰레기가 되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우리의 방관 속에서 분리수거가 되지 않은 알루미늄 캔은 같은 크기의 캔 용량에 해당하는 석유를 버리는 것과 같으며 500년간 썩지 ..

일상/교양 2018.12.14

"울다"에 대한 나의 에세이

2012년 12월 " 울다 " 저는 요즘 울음이 많은 편이 아닙니다. 최근에는 울었던 기억도 없습니다. 하지만 옛날을 생각해보면 울었던 적이 많은 것 같습니다. 나이가 많아지면서 울음이 적어진 것인지 울다 에 대한 주제를 공부하면서 많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 울다에 대해서 많은 조사를 하고 사례를 조사하면서 왜 울어야 하는 것인지 생물학적으로나 감정적인 측면에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저는 울다라는 것이 생물학적으로는 나쁠 것이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즉 단점은 없는 것입니다. 하지만 감정적인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부정적인 면은 나약함, 지성의 반대말, 의미 없는 것, 속임수, 거짓 등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부정적인 면이 있지만 긍정적인 면은 스트레스를 해소해주고 공감대를 형성하며 건..

일상/교양 2018.12.12
반응형